Joint Distribution
- or
- 결합 분포
# Tag:
Joint Distribution(결합 분포)
두 개 이상의 확률 변수를 동시에 고려해서 함께 나타날 확률을 나타내는 분포.
- CDF:
- PMF:
- PDF: : B라는 2차원 도형 면적에 대해서 이중 적분하는 것과 같다.
- CDF의 미분이므로,
⇒ 만약 각 확률 변수들이 독립이었다고 하면 각각의 확률(Marginal Distribution)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. 이는 필요충분조건이다. 즉,
: 는 CDF, PMF, PDF 모두에 대한 함수.
Marginal Distribution
위와 같이 결합 분포가 주어졌을 때, 특정 확률 변수 하나나 또는 일부 변수들의 분포를 **Marginal Distribution(=주변 분포)**라고 한다.
마찬가지로 CDF, PMF, PDF 모두 존재한다.
전체 확률의 법칙과 비슷하게(전체 확률의 법칙을 이용해서 구해도 동일) 주변 분포를 이용해서 구하면
- Marginal PMF:
- Marginal PDF: : 함수가 범위에 따라 나누어져 있다면 주의해서 범위를 나누어 적분해야 함.
베르누이 확률 변수 와 에 대해서
| null | |||
| 모든 확률변수의 치역에 대해 각각의 주변 확률을 곱했을 때 결합 확률과 동일하므로 독립이라고 할 수 있다. |
적분을 하는 공간(2차원이라면 평면)에 대해서, 그 공간 도형이 확률 변수들이 서로 종속적으로 만들어진다면 독립적이지 않다고 볼 수 있다. ⇒ ex) 이라는 공간에 대해서 적분: 가 결정되면 의 범위가 제한됨.
Conditional Distribution
조건 확률 변수 의 Distribution을 구하는 것.
의 값을 안다고 할 때, 의 값이 어떻게 결정될 지에 대한 분포를 구하는 것.
만약 와 가 독립이라면, 조건 없는 의 확률 분포와 의 확률 분포가 같아야 한다. 다르다면, 값을 아는 것이 새로운 정보를 준다는 의미이므로 독립이 아니다.
- Conditional PDF: : Bayes' Theorem를 적용하고 극한을 취한 것과 동일하다. 확률 밀도이긴 하지만, 확률처럼 근사해 극한을 취하고 계산한다.
- 는 이미 아는 값이다. 주어진 값 에 대한 의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므로, 를 상수 취급할 수 있다.
- 따라서, 해당 함수식 중 변수는 뿐이라 할 수 있다. (정확히는 )